본문 바로가기
정보

유상증자 청약신청하는 3가지 방법은?

by 파이낸스코리아 2022. 8. 7.

회사가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은행에 가서 돈을 빌린다던가, 회사채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한다던가, 특정 투자자에게 주식을 배정해주고 자금을 수혈한다던가 하는 방법들이 있지요. 그러나 상장회사가 가장 쉽게 자금을 조달 하는 방법은 바로 유상증자일것 입니다.

주식을 찍고 우리 회사 주식을 주주들(일반인)에게 주고 자금을 거둬들이는것이니 말이죠. 때문에 회사들이 기를쓰고 상장을 하려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마 본인이 투자한 종목에서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 공시가 나왔다면 이게 뭔가 하고 검색을 하다 이 글을 찾아 오셨을겁니다. 잘 찾아 오셨습니다. 초보자도 아주 알기쉽게 유상증자 청약신청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1. MTS 또는 HTS에서 청약신청 하기

먼저 HTS 입니다. HTS로 들어가시면 화면검색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이 메뉴를 통해 찾기 힘든 여러가지 메뉴들을 찾곤 하는데요. 여기에 유상청약 또는 청약신청같은 검색어를 검색해 주시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옵니다.

하나금융투자 HTS 유상청약 검색

저는 하나금융투자 HTS를 이용하여 검색을 했지만, 대한민국 모든 증권사에서 메뉴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니 별 어려움음 없으실겁니다.

또한 MTS에서도 메뉴검색 기능이 있으니 해당 메뉴에서 유상청약을 찾아들어가서 청약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단 중요한점은 반드시 내가 유상증자 하는 종목의 권리를 받아야 한다는 점 입니다. 권리락을 받아야 한다는 뜻인데요. 유상증자 발표 후 공시에 신주배정기준일 이라는 것이 보이실겁니다. 신주배정일 기준으로 이틀전(평일만 계산)까지 주식을 보유한다면 유상증자에 참여할 자격이 주어 집니다.

권리락에 대한 자세한 사전적 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권리락 글 자세히 보러가기(나무위키)

 

2. 콜센터에 전화해서 처리하기

내가 권리락을 받은 상태(유상증자를 받을 권리를 받은 상태)가 되면 내 계좌로 신주인수권 증서라는게 입고 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OOR 같은 것 말이죠. HTS 또는 MTS에서 신청하는 방법이 어렵다면 내 증권사 콜센터에 전화해서 처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단 청약에 참여할 돈이 현금으로 계좌에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신주발행가 * 내가 가진 신주인수권 증서 수량의 현금이 계좌에 있어야만 합니다.

콜센터에 문의하면 상담직원께서 친절히 예약청약이란것을 해주실 겁니다. 전화를 해야하는 시점은 권리락 이후에 하시면 됩니다.

 

3. 우편으로 신청하기

이 방법은 매우 구시대적인 방법이고 거의 하는 사람이 없지만, 설명을 드리자면 유상증자가 시작되면 회사는 권리주주들의 자택으로 유상증자 신청서 및 투자안내문을 보냅니다.

그 안에 유상증자 신청서가 동봉되어 있는데요. 해당 내용을 작성하여 보내시면 되는데 가급적 이 방법은 안하시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앞으로 친환경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너무 구시대적이고 자원낭비이며, 쓰레기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되는 방법이기 때문이죠.

지금까지 유상증자 신청하는 가장쉬운 3가지 방법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2022.03.27 - [정보] - 한국가구 재건축 수혜주 주식 추천

2022.02.14 - [정보] - 구리관련주 구리대장주 핵심 4종목은?

2022.02.21 - [정보] - 원자재 관련주 알루미늄 관련주 TOP5!

2022.01.29 - [정보] - 주식 증30, 50, 70, 100이란 뭘 뜻하는걸까?(증거금 뜻)

2021.05.06 - [정보] - 판타지오39R 유상증자 청약 방법!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