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용종제거하고 보험청구 방법

by 파이낸스코리아 2022. 10. 2.

어제 뉴스를 보니 연간 우리나라 국민들이 건강검진을 하면서 용종을 떼는 사람이 20만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용종은 암으로 발전될 수 있는 위나 대장에 붙은 종양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건강검진을 하면서 의사가 발견하면 우리몸안을 들여다보는 카메라를 이용해 살짝 제거한다고 합니다. 아주 간단하죠. 그런데 이게 수술이란거 알고 계셨나요? 즉 건강검진하고 용종이 발견되면 우리가 가진 보험에 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내가 가입한 보험은 많고, 지금까지 써먹을데가 없었는데 어떻게 보험을 써먹어야 할지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용종제거후 실비청구가 가능하다.

건강검진이기 때문에 실비청구가 진짜 될까? 하시는분들은 집중해서 읽어 주세요. 일단 건강검진을 받는 비용은 내가 지불하는게 맞습니다. 이건 보험처리가 안되죠. 그러나 용종제거를 하게되면, 건강검진 비용에다가 용종제거후 조직검사 비용이 추가로 청구 됩니다. 바로 이것을 실비보험에 청구할 수 있는겁니다.

자 예를 들어볼께요. 건강검진비용이 100만원이라고 칩시다. 근데 용종을 제거하고 이것을 조직검사할때에 10만원이 추가로 든다고 해볼께요. 그럼 이 10만원에 대해서 실비청구를 하는것 입니다.

진료비 세부산정내역서 / 진료비계산서

만약 검진이 끝나고 용종을 뗐다고 하면서 의사와 면담을 하셨다면 나가셔서 계산할 때 간호사에게 '진료비세부산정내역서''진료비 계산서' 를 요구 하세요. 카드영수증이 아니라 진료비가 어디에 쓰였는지 세부적으로 나온 서류 입니다.

 

수술비 담보가 있다면 수술비청구가 가능하다.

우리는 실비외에 추가로 종합보험이라는 장기보험에 가입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장기보험 수술비담보 특약이 있다면 청구가 가능합니다. 왜냐면 용종제거도 수술이기 때문이죠.

이번 서류는 좀 다릅니다. 바로 진단서가 있어야 하는데요. 진단서에 의사 소견으로 대장내시경에서 용종발견되어 '종절제술'을 시행했다는 멘트가 들어가야 합니다.

진단코드는 K 또는 D로 시작 하게 됩니다. 질병수술비 담보 또는 질병수술비1~5종이란 보험에 가입되어 있으시다면 청구가 가능 합니다.

만약 이 담보가 합이 100만원이라면 100만원이 입금되게 됩니다.

 

용종제거후 암보험 청구도 가능하다?

이것은 조직검사를 끝냈을 때 이야기 입니다. 조직검사가 끝나면 조직검사결과지가 나오게 되는데요. 이게 용종이 아니라 암으로 발전가능성이 있는 '선종' 이라면 좀 심각한 것이긴 합니다.

조직검사 결과지에 Diahnosis란에 High-grade라고 적혀 있다면 이것은 제자리암같은 소액암으로 분류가 되기 때문에 소액암 청구가 가능하게 되는것 입니다.

용종제거후 보험청구 방법

위 서류는 Low - grade로 결과를 받은 서류 입니다. 이게 High 였다면 소액암으로 청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죠.

지금까지 용종제거후 보험청구 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