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주식 분기 반기 사업 보고서 마감일은?

by 파이낸스코리아 2022. 10. 5.

상장사는 매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 말까지 정해진 기한내에 보고서를 내야 합니다. 이 보고서란 분기보고서, 반기보고서, 사업보고서라 하며 정해진 기한을 지키지 않으면 관리종목 지정사유가 됩니다.

흔히 제때 보고서를 제출하지 못하는 회사들은 재무가 형편없는 회사일 경우가 많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회사 실적발표일(보고서 마감일)에 대하여 설명 드리고,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가 정해진 기한내 제출이 예외되는 특수한 경우까지 설명 드리겠습니다.

1. 분기보고서 제출마감 기한은?

지금부터 설명드리는것은 12월을 결산으로 하는 법인을 예로 들겠습니다. 간혹 3월 또는 6월, 8월을 결산법인으로 하는 회사도 있는데요. 대부분은 12월이니 편의상 12월 결산법인을 예로 설명 드릴께요.

아시다시피 1년은 총 4분기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3월은 1분기, 4~6월은 2분기, 7~9월은 3분기, 10~12월을 4분기라 합니다.

1분기 보고서의 마감기한은 5월 15일 입니다. 분기보고서의 경우 마지막 거래일의 +45일 입니다. 항상 머릿속에 기억해 두고 계세요.

그럼 이번에는 3분기 보고서 마감일은 언제일까요? 3분기는 9월에 끝납니다. 따라서 +45일을 더하여 11월 15일이 3분기 분기보고서 마감일이 되는것 입니다.

분기보고서 반기보고서 사업보고서 제출마감일은?

2. 반기보고서 마감일은?

반기는 1월부터 6월을 말합니다. 따라서 2분기 분기보고서는 반기보고서로 갈음 됩니다. 때문에 6월 30일에 전반기가 끝나니 8월 15일이 반기보고서 마감일이 되는 셈이죠.

그러나 8월 15일은 광복절 휴무 입니다. 그럼 휴무일경우 어떻게 되는것 일까요? 그럼 다음 평일이 마감일이 됩니다. 16일도 휴일이라면 17일이 되겠죠?

 

3. 사업보고서 마감일은?

사업보고서는 한해를 마무리하는 가장 중요한 보고서 입니다. 사업보고서에는 감사보고서도 포함되는데(물론 반기보고서에도 포함됨) 감사인이 회사에 대한 재무제표 의견을 거절한다면 상장폐지 실질심사에 해당하니 주의 해야 합니다.

사업보고서는 분기, 반기보고서 마감기한과는 좀 다릅니다. 좀더 많은 시간을 주죠. 왜냐하면 1년치의 회계내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내용이 방대하여 시간을 좀 더 주기 때문 입니다.

사업보고서 마감일은 1년이 끝난해로부터 +90일 입니다. 즉 3월 31일까지 분기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보통 3월에 정기주주총회를 하죠? 이때 안건으로 제무제표 승인안이 나오게 되는것 입니다.

분기보고서 사업보고서 반기보고서 제출마감일은?

4. 보고서 제출기한을 늘려주는 경우는?

이 경우는 사업보고서는 제외이고요. 분기 및 반기만 해당 됩니다. 만약 회사가 인수합병을 통해 새로운 회사를 인수하고 그 회사를 종속회사로 하는 경우에는 15일의 시간을 더 줍니다.

즉 A라는 기업이 B라는 회사를 인수하여 B의 재무제표도 A의 재무제표에 반영되도록 한다면 그 해당 반기와 분기에는 15일의 시간을 더 주게 되는것이죠.

유예기간은 2년간만 해주며 이후에는 보통때와 같이 +45일을 지켜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

2022.10.02 - [정보] - 주식 전환가액 조정이란 무슨 뜻?

2022.03.27 - [정보] - 한국가구 재건축 수혜주 주식 추천

2022.01.26 - [정보] - 주식 배당금 세율은 어떻게 될까?

-->

댓글